매일 읽어야 하는 밑줄
75p.
가지고 있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은 돈을 벌기 위해서 그들은 자신이 가진 것, 필요한 것을 걸었다. 이는 바보 같은 짓이다. 그냥 순전히 바보 같은 짓이다. 당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무언가를 위해 당신에게 중요한 무언가를 건다는 것은 그냥 말도 안되는 짓이다. - 워렌 버핏
76p.
현대 자본주의는 두 가지를 좋아한다. 부를 만들어내는 것과 부러움을 만들어내는 것.
그러나 '충분함'을 느끼지 못한다면 삶은 아무 재미가 없다. 사람들이 흔히 말하듯이, 결과에서 기대치를 뺀 것이 행복이다.
78p.
라스베이거스에서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들어오자마자 나가는 겁니다 - 라스베이거스 딜러
89p.
버핏은 순자산은 845억 달러(약 98조)다. 그 중 842억 달러(99.6%)는 쉰 번째 생일 이후에 축적된 것이다. 815억 달러(96.4%)는 그가 사회보장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된 60대 중반 이후에 생긴 것이다.
103p.
돈을 버는 것은 버는 것이다. 이를 유지하는 것은 별개다
114p.
자만하지 않는 법을 배울 수만 있다면 아무리 큰 돈을 지불해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토록 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처참하게 부서진 것은 모두 자만 때문이다.
122p.
1938년 월트 디즈니가 제작한 영화는 수백 시간 분량이었다. 그러나 사업적으로 따졌을 때 중요한 것은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오직 83분에 불과했다.
123p.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한 2만 1,000건 이상의 벤처 투자 사례를 분석했더니 다음과 같았다.
65퍼센트는 돈을 잃었다. 2.5퍼센트는 10배에서 20배 수익을 거뒀다. 0.5퍼센트, 그러니까 2만 1,000개 중 100개 정도의 회사가 50배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벤처캐피털 업계 수익의 대부분은 바로 여기에서 나왔다.
더 안전하고, 더 예측 가능하고, 더 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대형 상장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혹은 그렇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기억하라.
꼬리가 '모든 것'을 좌우한다. 시간이 지나고 보면 대형 상장기업의 성공 분포 역시 벤처캐피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상장기업 상당수는 실패작이고, 단 몇 몇 만이 손에 꼽을 정도의 대단한 승자가 되어 주식시장 수익률의 대부분을 책임진다.
126p.
러셀 3000 지수는 1980년 이후 73배 증가했다. ...그런데 지수에 포함된 기업 중 40퍼센트는 사실상 실패작이었다. 지극히 훌륭한 성과를 낸 7퍼센트의 기업들이 실패작을 벌충하고도 남았다.
아마존의 성장은 대부분 아마존 프라임과 아마존 웹서비스 덕분이다. 이들 사업 부문은 기업 내부에서 그 자체로 꼬리 사건에 해당한다. 아마존은 파이어폰에서 여행사에 이르기까지 수백 개 제품을 실험했기 때문이다.
127p.
구글의 채용 합격률은 0.2퍼센트다. 페이스북은 0.1퍼센트이며 애플은 약 2퍼센트다. 그러니 이례적인 수익률을 견인하는 이례적인 프로젝트를 작업하는 사람들은 이례적인 커리어를 가진다.
대부분의 경우 '현재'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당신이 만약 평생을 투자한다면, 당신이 오늘 또는 내일 또는 다음 주에 내리는 의사결정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남들이 모두 미쳐가는 몇 안 되는(아마도 1퍼센트도 안 되는) 날에 당신이 어떤 의사결정을 내리는가 하는 점이다.
129p.
우리가 투자의 천재를 훌륭하게 정의해본다면 '주변 사람들이 모두 미쳐갈 때 평범한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꼬리가 모든 것을 좌우한다.
131p.
지금 우리 회사는 히트작 비율이 지나치게 높습니다. 저는 늘 콘텐츠 팀을 닥달하는데요.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한다고요. 미친 프로젝트를 더 많이 시도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엎어지는 비율이 지금보다는 높아야 해요. - 리드 헤이스팅스
꼬리가 성공을 주도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똑똑한 행동이다.
133p.
2013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워런 버핏이 말하길, 자신은 평생 400곳에서 500곳의 주식을 보유했지만 대부분의 돈을 벌어준 것은 그중 10곳이라고 했다.찰리 멍거가 이어 이렇게 말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고 투자 사례 몇몇을 제하면 장기실적은 거의 평균에 가깝습니다."
172p.
부를 쌓는 것은 소득, 투자수익률과 거의 관계가 없다. 저출률과 관계가 깊다.
174p.
부란 벌어들인 것을 쓰고 난 후 남은 것이 축적된 것에 불과하다.
176p.
저축을 늘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는 소득을 늘리는 것이 아니다. 겸손을 늘리는 것이다.
저축을 당신의 자존심과 소득 사이의 격차라고 정의해보라.
180p.
지금처럼 연결된 세상에서 지능은 믿을 만한 이점이 아니다. 그러나 '유연성'은 이점이 될 수 있다.
지능 경쟁이 치열하고, 많은 능력이 자동화된 세상에서 경쟁 우위는 복잡한 소프트 스킬쪽으로 기운다. 소통 능력, 공감, 그리고 유연성 같은 것 말이다.
295p.
비관주의자들은 시장이 어떻게 적응해 갈지를 고려하지 않고 미래를 추정한다.
297p.
진보는 너무 느리게 일어나서 알아채기가 힘들지만
파괴는 너무 빠르게 일어나서 무시하기가 어렵다.
320p.
"리스크란 내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생각했다고 여길 때 남은 것이다." - 칼 리처즈
323p.
스타트업의 결과는 자신들의 노력 못지않게 경쟁자의 실적과 시장의 변화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나 사업가들은 자연히 자신이 가장 잘 아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나의 계획, 행동, 자금 모집 가능성 같은 가장 직접적인 위협과 기회 같은 것들 말이다.
351p.
...비용을 대려고 어쩔 수 없이 주식을 파는 일이 없어진다면, 우리가 보유한 주식이 최대한 오랫동안 몸집을 키울 확률도 높아질 것이다.
"복리의 첫 번째 규칙은 절대로 쓸데 없이 손대지 않는 것이다." - 찰리 멍거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 원리 사고법 : 일론 머스크 (0) | 2024.11.14 |
---|---|
확신과 인내, 운 (0) | 2024.11.14 |
일론 머스크 - AI, 로봇 및 미래에 대한 이야기 (1) | 2024.11.07 |
2024/11/6 미국 대선 결과 : 트황과 갓스크 (1) | 2024.11.06 |
잠재 수요에 대한 과소평가 (0)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