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확정 첫 날 결과.
주요 지수 : 러셀 > 다우 > 나스닥 > S&P
- 상승종목비율 : NYSE 164%, Nasdaq 183%
섹터
- 📈강세 : 적자성장주, 금융, 산업재
- 📉약세 : 필수소비, 유틸리티
종목
- 📈강세 : 코인, 테슬라, 적자성장주, 산업금속, AI HW, 산업재
- 빅테크 - AAPL(-0.3%), MSFT(+2.1%), GOOGL(+4.0%), AMZN(+3.8%)
- 테슬라 - TSLA(+14.8%)
- AI HW - NVDA(+4.1%), VRT(+7.1%), DELL(+3.7%), HPE(+6.7%)
- 전력기기 - VRT(+7.1%), ETN(+6.4%), POWL(+18.1%)
- 은행 - JPM(+11.5%), BAC(+8.4%), WFC(+13.1%), MS(+11.6%)
- 인프라/美 산업재 - CAT(+8.8%), TRMB(+17.9%), ODFL(+11.2%)
- 우주 - RKLB(+10.5%), GSAT(+6.3%), RDW(+7.3%), LUNR(+6.7%)
- 방산 - RTX(+2.2%), GD(+4.0%), LHX(+2.1%), NOC(+2.0%)
- 코인 - MARA(+19.0%), RIOT(+26.2%), BITF(+17.7%), COIN(+31.1%
- 📉약세 : 태양광, 풍력, BESS, 전기차, 바이오, 소매마트, 중국관련
- 태양광/풍력/BESS/전기차 - ENPH(-16.8%), SEDG(-22.2%), FSLR(-10.1%), RUN(-29.6%)
*
과거의 기록과 통계에 그대로 부합하는 중.
지난 2016 트럼프 당선 후 1년 동안 러셀 지수는 +18.2%상승
이를 아웃퍼폼한 업종은 헬스케어(+39.4%), 산업재(+23.3%), 테크(+23.2%), 소비재(+22.7%), 원자재(19.4%) 등
• 당시 러셀 2000 지수는 사상최고치 거듭 경신함. 인프라 투자 및 세금감면과 더불어 경기부양책과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인해 미국 내 시장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성장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지수의 상승 견인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미국 대선에서 당선됨에 따라, 그의 정책 방향에 따른 투자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전통 에너지 산업 지원, 국방 예산 확대, 규제 완화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 전략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전통 에너지 산업 투자
트럼프 대통령은 석유, 천연가스 등 전통 에너지 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강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대상: 엑손모빌(ExxonMobil), 셰브론(Chevron) 등 주요 석유 및 가스 기업.
- ETF 투자: 에너지 섹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ETF로는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XLE)가 있습니다.
2. 국방 산업 투자
국방 예산 확대는 방산 기업들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대상: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노스럽 그루먼(Northrop Grumman) 등 방산 기업.
- ETF 투자: 방산 섹터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는 iShares U.S. Aerospace & Defense ETF(ITA)가 있습니다.
3. 금융 산업 투자
규제 완화와 감세 정책은 금융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대상: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JP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 등 대형 은행.
- ETF 투자: 금융 섹터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는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XLF)가 있습니다.
- Direxion Daily Financial Bull 3X Shares (FAS) : Russell 1000 Financial Services Index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며, JP모건 체이스, 뱅크 오브 아메리카, 웰스 파고 등 주요 금융 기업들로 구성
- ProShares Ultra Financials (UYG) : 다우존스 미국 금융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버크셔 해서웨이, JP모건 체이스, 비자 등 다양한 금융 기업에 투자
4. 헬스케어 산업 투자
규제 완화는 헬스케어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대상: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itedHealth Group),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등 헬스케어 기업.
- ETF 투자: 헬스케어 섹터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는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Fund(XLV)가 있습니다.
- URE (Direxion Daily Healthcare Bull 3x Shares)
- RXL (ProShares Ultra Health Care)
5. 인프라 및 건설 산업 투자
인프라 투자 확대는 건설 및 관련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 대상: 캐터필러(Caterpillar), 유나이티드 렌탈스(United Rentals) 등 건설 장비 기업.
6. 가상자산 투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가상자산, 특히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투자 고려사항: 가상자산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과거 Red Sweep 기간 동안 '다우'지수 상승률
* 1900년 이후, 미국 정치 역사상 총 4번의 Red Sweep이 존재. 각 기간별 다우지수 상승률은 [아래]에서 확인
▶️ 1921-1931(+5.5%, 최고 +380%)
워런 하딩(Warren Harding)에서 허버트 후버(Herbert Hoover)까지 연이어 공화당이 권력을 장악한 시기. 이 시기 초반 경제 호황이었으나, 1929년 대공황이 시작되면서 시장은 큰 폭으로 하락
▶️ 1953-1955(+69%)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경제의 안정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주식 시장도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
▶️ 2003-2006(+50%)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말에서 두 번째 임기 초반. 당시 감세 정책과 국방 지출 증가(전쟁)로 주식 시장 상승세
▶️ 2017-2018(+17%)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초기. 대규모 감세 정책(법인세 28%→21%)과 규제 완화로 주식 시장 활기를 띠었으나, 2018년에 미중 무역 갈등과 금리 인상으로 시장에 변동성 발생
▶️ 2025-2026(???)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47대 대통령으로 재선출됨. 감세, 규제완화 및 관세인상 등 정책 추진 예정.
Source: Bloomberg
'인베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TBN : Tesla, Bitcoin, Nvidia (1) | 2024.11.11 |
---|---|
승자는 테슬라, 일론 머스크 (21) | 2024.11.09 |
박경철 2008년 아주대 특강, 그리고 W (9) | 2024.10.28 |
벤저민 그레이엄 - 현명한 투자자 (1) | 2024.10.23 |
지난 10년간 시가 총액 증가 베스트 10 기업 (2) | 2024.10.23 |